나무 뒤로 숨기만 했던 녀석들과의 첫만남 사진 기억나시죠?
그땐 아직 눈 색깔도 아직 정해지지 않아서 회색이 돌았는데,
이제는 갈색 눈동자 쪽으로 거의 자리를 잡았습니다.
이렇게 전신을 제대로 보니 생각나는 이름이 있습니다. '피구왕 통키'요^^
천상 이 녀석은 통키로 불러야겠습니다. 은은하게 비치는 저녁 햇살을
받으며 식빵을 굽고 있는 통키. 무사히 자라나고 있어 다행입니다.
머리를 긁고 있습니다. 아기 고양이의 '뒷발 경례' 같지요?
경례는 각이 잡혀야 한다지만 여기는 군대도 아니고 하니까
발가락 끝이 좀 굽힌 것 가지고 트집 잡을 사람은 없습니다.
함께 태어난 다른 삼색이는 통키의 '통'을 돌림자를 써서 '통통이'라 불러주려 합니다.
눈에 결막염 기운이 있는데, 다음에 만날 때 캔에 약이라도 좀 섞어줘야겠어요.
2002년부터 지켜봐 온 밀레니엄 고양이들의 세대가 계속 이어지면서
비슷한 무늬가 많아져서, 무늬로만 구분해 부르기도 점점 어려운지라
이렇게 새로 이름 붙여주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그만큼 이곳
길고양이에 대한 마음도 도 깊어지네요.
구독+ 버튼으로 '길고양이 통신'을 구독해보세요~ 트위터: @catstory_kr
↓ '손가락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고경원의 길고양이 통신] > [고양이 여행]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고양이 혈투도 멈추게 하는 '밥의 힘' (18) | 2010.10.17 |
---|---|
미술관 식객 길고양이, 미돌이 (14) | 2010.10.16 |
길고양이, 연륜의 차이는 표정이 말해준다 (19) | 2010.10.14 |
하품하는 길고양이, 놀라운 입 크기 (26) | 2010.10.13 |
길고양이 대장의 '노란색 완장' (21) | 2010.10.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