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예가 조은정의 작업실은 2곳이다. 남들은 하나도 갖기 어려운 작업실이 2곳이라니. 한데 그가 작업을 두 군데서 하는 데는 사정이 있다. 여느 도예가들과 달리, 조은정의 작업실에는 가마가 없다. 대신 집에 가마를 뒀다. 지금 쓰는 작업실 공간이 협소한 편이라, 공방 겸 작업실로 쓰는 곳에선 수강생을 가르치거나 초벌구이한 기물에 그림을 그려 넣는 작업을 하고, 가마에 굽는 마무리 작업만 집으로 가져가서 한다. 가마에 불을 때지 않을 때면, 고양이들이 전망대 삼아 창밖을 보는 캣타워로도 쓴다. 가마를 보호하는 철제 앵글에 마끈을 감아 발톱긁개를 만든 모습은, 고양이와 함께 사는 도예가의 작업실에서만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언니 친구 아버지가 대문 옆 쓰레기 더미에 버려진 새끼 고양이를 몰래 꺼내오셨대요. 가족이 다 반대하는데, 마침 딸 친구 동생인 제가 고양이를 좋아하니 이리로 보낸 거죠. 그렇게 양양과 처음 만났어요. 근데 고양이가 생기니까 밥이랑 모래를 사야 되잖아요. 그제야 회사에 나가고 일을 하는 의미가 생겼어요.”
원하는 색깔과 무늬별로 고양이를 입양하고 싶었던 어린 시절의 가족계획도, 양양의 입양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가동됐다. 1998년 2월 모란장에서 사온 둘째 고양이 메이, 역시 모란장 약고양이 장에서 “산 채로는 안 판다”는 걸 우겨서 사온 셋째 나오미, 하이텔 고양이 소모임의 입양란 담당자로 있던 시절 인연이 닿아 입양한 넷째 야로까지 4마리로 1세대 구성을 마치려던 무렵, 예기치 않은 업둥이가 들어왔다. 젖소무늬 고양이 잭, 일명 재구다.
“사고를 겪거나 장애가 있는 고양이라고 해서 모두 트라우마에 시달리진 않아요. 잭은 스스로를 불쌍하다 여기거나, 앞을 못 본다고 괴로워하지 않았어요. 오히려 ‘이 정도 큰일도 겪었는데, 그보다 가벼운 일에는 타격을 받지 않아’ 하는 고양이로 자라줬거든요.”
양양부터 잭까지 5마리가 1세대 고양이였다면, 6년의 터울을 두고 얻은 2세대 고양이는 6마리다. 나오미가 6살 때 낳아준 동고비와 싱그람, 들고양이였던 노랑둥이 소목과 턱시도 무늬의 ‘개냥이’ 브즈, 여신 같은 외모를 자랑하는 호리호리한 2대 야호, 어른이 되어서도 절대동안을 자랑하는 오동이까지. 가족에게서 독립한 지 오래지만, 집에 들어서면 반겨주는 고양이 가족 덕분에 쓸쓸하지 않다.
“카페 손님 중에 혜화동에서 도예 작업실을 하는 분이 계셨어요. 저야 늘 이런저런 고양이 물건을 만들고 싶어 했으니까, 고양이 밥그릇을 만들고 싶어서 공방에 갔죠. 근데 흙으로 빚어 만드는 작업은 당일엔 안 된다고, 그림을 한번 그려보라는 거예요. 도자 안료가 참 재밌더라고요. 어린애들 쓰는 12색 크레파스로 정물화 그리는 기분이었어요.”
고양이와 관련된 작업이라면 뭐든 신나게 몰입하는 그도 마음이 무거워지는 작업이 있다. 아는 사람에게서 고양이 유골함을 만들어달라는 부탁을 받을 때다. 오래 전 고양이 모임에서 친해졌다가 한동안 연락이 끊긴 친구가 갑자기 연락해올 때면, 혹시나 싶어 가슴이 철렁하다. 고양이와 함께 살아온 것도 벌써 13년째니, 그 무렵 알게 된 친구들의 고양이가 노년기를 맞이하고 하나둘 세상을 뜨는 것도 자연스러운 수순인지 모른다.
문득 듣는 ‘아는 고양이’의 부고는, 조은정의 1세대 고양이들 역시 점점 나이 먹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일이기도 하다. 친구의 고양이를 위한 유골함을 만들면서, 조은정도 언젠가 고양이들에게 찾아올 죽음을 수없이 그려보았을 것이다. 그래서 만성 신부전으로 앓아온 양양이 2009년 6월 세상을 떠났을 때도, 같은 해 12월 재구가 양양 곁으로 갔을 때도 그들의 죽음을 담담히 받아들일 수 있었다.
“사고로 고양이가 죽거나, 고양이를 잃어버려서 생이별한 친구도 있거든요. 그때 느낄 감정이 어떤 건지 아니까…. 차라리 나이 먹어서 노환으로 죽은 게 어쩌면 축복이라는 생각도 들어요. 슬픔 속에서도 기쁨이 있다면 그런 거겠죠. 그거라도 있어야지, 그것도 없으면 어떻게 버텨요.”
태어날 때 함께하진 못했더라도, 마지막 순간은 최선을 다해 함께했다는 확신이 있기에 견딜 수 있다는 그의 말에 고개를 끄덕인다.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삶의 방식만큼이나, 죽음을 애도하고 극복하는 방식도 다를 수밖에 없으리라. 사별은 누구에게나 깊은 슬픔을 남기지만, 함께 사는 고양이의 죽음이란 그에게 ‘상실’보다 ‘완성’에 가까운 의미가 아닐까 싶다. “잘 죽는 것은 잘 사는 삶의 정점”이라 했던 로버트 풀검의 말을 굳이 빌리지 않더라도 말이다. 목사였던 로버트 풀검은 <내 인생의 여섯 가지 신조>라는 글에서 “슬픔의 유일한 치료제는 웃음이며, 사랑이 죽음보다 더 강하다는 걸 나는 믿는다”고 썼다. 나 역시, 그의 말을 믿는다.
'취재기사 | 칼럼 > 인터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꾸는 고양이의 금빛 날개-도예가 김여옥 (59) | 2010.12.17 |
---|---|
고양이 쿠션 만드는 ‘고양이 삼촌’ 유재선 (47) | 2010.12.07 |
고양이 초상화를 보는 고양이 (68) | 2010.11.19 |
길고양이에게 “굿모닝” 인사하는 이유-설치미술가 김경화 (51) | 2010.11.15 |
앙큼한 고양이와 개미요정의 한판 승부 (53) | 2010.04.16 |
댓글